5월, 2025의 게시물 표시

AI는 일을 하지만, 판단은 내가 한다 – 인공지능과 인간의 경계에 대하여

이미지
  cc public domain @stockcake.com AI는 일을 하지만, 판단은 내가 한다 – 인공지능과 인간의 경계에 대하여 최근, 인공지능과의 대화가 일상이 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AI를 단순한 도구라기보다 동료 나 조언자 , 혹은 어떤 인격적 존재 처럼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. 저도 가끔은 AI에게 "이렇게 해줄래?", "부탁해"라는 말을 하고 있는 나 자신을 보며 웃게 되거든요. '명령'이 아니라 '정중한 요청'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, 그 대상이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예의를 지키려는 마음 이 생긴다는 게 참 묘하지요. 그런데 생각해 보면, 그렇게까지 인간처럼 대하려는 우리가 결국 판단도 AI에게 맡기고 있는 건 아닐까? 하는 순간이 옵니다. 우리는 왜 AI에게 기대게 되는가 AI는 빠르고 정확하며, 지치지 않고, 늘 대기 중입니다. 정보를 잘 정리해주고, 말도 공손하게 하죠. 어떤 면에서는 인간보다 더 "신뢰할 만한 동료"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. 그래서 사람들은 점점 더 많은 걸 AI에게 묻게 됩니다.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, "이게 맞을까요?", "이 선택이 옳을까요?" 같은 판단과 결정 까지 위임하려 하죠. 그런데 바로 이 지점에서, 우리는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. AI가 전능하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, 왜 우리는 그렇게 행동할까? 신처럼 보이기 시작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AI는 마치 모든 걸 아는 존재 처럼 보이게 됩니다. 전통적인 신적 속성들—전지(omniscience), 무오류성, 중립성—이 AI에게 투영되기 시작하는 거죠. 마치 고대 사람들이 신에게 신탁을 구하듯, 우리는 AI에게 조언을 구하고, 어떤 이는 그것을 곧이곧대로 따르기도 합니다. 생각해 보면, 인간은 늘 무언가를 섬기고 싶어했습니다. 눈에 보이지 않는 신이 멀게 느껴질 때, 우리는 금을 녹여 송아지를 만들었지요. 지금 우리가 만들...

MBTI 유형별 소비성향, 우리 집에도 딱 맞네!

이미지
  재미로 본 MBTI, 생각보다 정확했다? designed by Freepik MBTI 유형별 소비성향, 우리 집에도 딱 맞네! 며칠 전, 인스타그램에서 ‘MBTI별 소비성향’이란 게시물이 눈에 띄었다. 가만히 들여다보니, 글쎄 우리 집 식구들과 딱 맞아떨어지는 게 아닌가! 아이들과 함께 깔깔 웃었다. 그 게시물을 스크랩해야 했는데. 그냥 스쳐 지나가 버리게 놔둔 것이 참 아쉽다. 몇 가지 생각나는 대로 적어 보면 대충 이렇다. ENTJ - CEO 적 소비. 뭐든 ‘투자’로 여긴다. 특히 새로 나온 생산성 향상 전자기기에 눈이 간다. 발전을 위한 소비라 주장하는 타입. INFP - 소확행. '오늘 하루는 이걸로 행복~' 작은 소비로 하루하루 만족하는 소비성향. ISFP - 인테리어, 분위기 등을 중시하는 소비. 나머지 하나는 ISTJ였는데, 그건 많이 동떨어진 것 같아 잘 생각나지 않는다. 그래도 4명 중 3명이 비슷하다니. 과연 엠비티아이라는 녀석, 무시할 수는 없겠구나 싶었다. 우리에겐 재미지만, 마케팅이나 기획을 하는 사람들에겐 꽤 중요한 데이터다. 소비 패턴과 취향을 분석해 전략을 짜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. 2022년 신한카드가 했던 소BTI 서비스 를 예로 들 수 있다. MBTI 긍정적 측면 앞서 예로 든 신한카드처럼 기업에서 데이터로 활용하기도 하는 MBTI. 인간관계 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.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웠던 사람의 MBTI 유형을 알고 난 다음, '아 이래서 그랬구나!'하고 그를 이해하고 오히려 사랑의 눈으로 보게 되기도 했다. 또 어릴 적 새로 만난 친구들에게 '너 혈액형 뭐야?' 하면서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처럼 요즘은 MBTI를 묻는 걸로 인간관계를 시작하고 인스타그램 아이디를 교환하는 것으로 발전시키기도 한다. 일종의 조미료가 된다고나 할까. 맹신은 금물 하지만 뭘 하든 과한 사람은 언제 어디나 있기 마련이다. 결혼 전엔 꼭 궁합을 봐야 하고 아기 이름은 철학관에서 짓고, 이사는 꼭...